1.개요: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복실리에 있는 산으로 높이 432.9m이다. 순창 서북쪽에 위 치하며 남쪽에 있는 순창 전경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으며 순창 컨트리클럽이 금산 계곡에 있다. 순창읍에서 오르는 등산로가 있고 산허리에 팔각정이 있다. 큰 암벽이 많은 산으로 정상은 넓은 암반지대를 이룬다. 순창의 진산으로 산자락에 순평사, 실상암, 영천사가 있다. 풍수지리상 옥녀가 비단을 짜는 옥녀직금(玉女織錦) 형상이라서 금산(錦山)이라고 했다는 설 과 풍수지리의 대가인 홍성문(洪成文)이 지은 「회문산가(回文山歌)」에 순창읍에 기러기가 내 려 앉는 형상의 새 금(禽)을 쓰는 금산(禽山)이라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회문산가」에 “천마 (天馬)는 동주(東走)하고 홍안(鴻雁)은 남비(南飛)로다.”라고 나와 있다. 이 말은 “말은 동쪽 으로 달리고 기러기는 남쪽인 순창읍 방향으로 날아간다.”는 뜻이다. 이 때문에 금산은 새 의 산이며, 상대성 원리에 의거 기러기가 힘을 쓸 수 없도록 새와 상극인 독수리가 북쪽으 로 향하고 있다고 한다.
순창읍의 기(氣)를 조성하는 산으로 금산의 물줄기는 모두 섬진강에 합수된다. 산줄기는 호 남정맥 강천산 왕자봉에서 무이산 쪽으로 가지를 친 순창의 북쪽 산줄기에 원통산과 금산을 형성하였다. 금산 아래 1㎞ 지점에는 새들이 군락을 이룬다는 의미의 새터마을이 있었는데, 그런데 이것이 마을 터를 새롭게 잡았다는 의미인 신기(新基) 마을로 잘못 바뀌었다고 한다. 최근에 금산에는 산림 훼손을 최소화하는 순환탐방로가 개설되었는데 피톤치드가 많이 발생 하는 아름다운 숲으로 금산 웰빙산림 녹지공간 체험장을 조성하여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해마다 1월1일이면 순창군민들은 금산에 올라 떠오르는 해를 보며 한 해를 소망 을 기원한다고 한다.
2. 총 산행거리 및 소요시간 : 약 5.91km(트랭글GPS), 2:25~3:00 정도소요
3.조망도:
ㅇ금산정: 남쪽으로는 순창 시가지 너머로 동산(344.8m). 동남쪽으로는 순창시가지 너머로 멀리 곡성 동악산(737.1m) 능선, 그리고 그 좌측으로 고리봉(708.9m), 삿갓봉(609m), 문덕 봉(598.1m) 능선이 한 눈에 들어온다. 동쪽으로는 장덕산, 그 너머로 벌동산, 그리고 멀리 체계산. 남서쪽(암릉에서)의 아미산(518.1m), 그 옆으로 동산(344.8m)이 보인다. 금산 정상에서는 북으로는 아래로 광암제, 멀리 회문산(837.1m), 백련산(753.9m), 원통산 (603.8m)이 한눈에 들어온다, 동북쪽으로는 무량산~용궐산 능선도 눈에 들어온다. 동쪽으로 는 풍악산(604.7m) 능선도 바라보인다.
4.전체 진행 방향 및 예정 시간
대구출발07:30 – 휴게소(휴식) - 순평사(10:10) ~ 체육공원(0:28) ~ 오솔길 삼거리 ~ 팔각정 ~ 금산(11:00) ~ 도로 ~ 340봉 ~ 골프장 조망 안부 ~ 서어나무숲 ~ 묘역 ~ 포갠바위 ~ 영천사 ~ 실상암&순평사(13:30이전) - 대모암(홀어머니 산성 탐방)- 대구도착18:00
5.대모암(大母庵):
순창군 순창읍 백산리 대모산(大母山)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 선운사의 말사이다.절이 자리한 대모산에는 조선시대에 군창(軍倉)으로 사용되었고 현재 전라북도유형문화재 제70호로 지정된 대모산성이 있다. 대모산성은 속칭 ‘홀어미산성’ 혹은 ‘할미산성’으로 부르는데, 산성 내에 군량미 등을 저장했기 때문에 ‘합미성(合米城)’으로 부른 것이 와전되어 ‘할미산성’이 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이 할미성이 한자로 쓰여지면서 ‘대모(大母)’가 되었을거로 생각한다.
목포 입암산 용라산 갓바위 조망산행 (0) | 2021.02.04 |
---|---|
목포 갓바위 (0) | 2021.02.04 |
옥천 화인산림욕장 여수울산 장계유원지 (0) | 2021.02.02 |
거제 왕조산 무지개길 조망산행 (0) | 2021.02.02 |
부안 석불산 계화도 계화산 트레킹 (0) | 2021.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