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정의 그리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산정의 그리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명품사진
    • 산정산악회.투어21로드
    • 산정의 명산소개
    • 산정포토
    • 포토산행기
    • 산정의 수필!!
    • 매일신문 산사랑 산사람
    • 산정의낙서
    • 스토리1
    • 폰사진
    • 공감
    • 절(사찰)

검색 레이어

산정의 그리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스토리1

  • 조선 3대 수영성 충청수영성과 오천항, 오서산을 조망하고 맛집을 들르다

    2024.01.23 by 산정(지홍석)

  • 경주 지경리해변, 동해안 숨겨진 해안절경을 가다

    2023.12.05 by 산정(지홍석)

  • 거창 감악산 꽃&별 여행축제

    2022.09.24 by 산정(지홍석)

  • 김천 직지사 꽃무릇, 이룰수 없는 참사랑 21만본 꽃무릇의 향연

    2022.09.19 by 산정(지홍석)

  • 청도읍성

    2022.09.07 by 산정(지홍석)

  • 진천 농다리 보탑사 초평호

    2022.09.07 by 산정(지홍석)

  • 경주 서출지 연꽃 배롱나무 무량사 이요당

    2022.07.25 by 산정(지홍석)

  • 경주 종오정 배롱나무와 연꽃

    2022.07.25 by 산정(지홍석)

조선 3대 수영성 충청수영성과 오천항, 오서산을 조망하고 맛집을 들르다

충청수영성에서 내려다 본 오천항 천혜의 입지조건인 오천항에는 조선3대 수영의 충청수영청이 자리해 있다. 충청수영성의 영모정(좌측 멀리 오서산) 충청수영성의 영모정과 앞쪽의 촬영지 간판 오천항 주변에는 "간재미 무침회" 맛집들이 많다 오천항 맛집 중 하나 오양손칼국수(충청수영성 주차장 앞쪽에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n-MRUHkPD8 오천항과 충청수영성 천혜의 입지 조건인 오천항은 삼국시대부터 중국과의 교역항 역 할을 맡아온 군사적으로도 중요한 거점이다. 조선시대 3대 수영 중 하나인 충청수영성이 이곳에 자리하고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충청수영 산하에 군선이 142척, 수군이 8,400 여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오천항에 충청수영성이 축성된 건 1509년..

스토리1 2024. 1. 23. 17:13

경주 지경리해변, 동해안 숨겨진 해안절경을 가다

https://www.youtube.com/watch?v=aXFxokIII90&t=335s 경주 지경리 해변과 해식동굴 경북 경주시 양남면 지경길 39에 위치. 경주의 가장 남쪽 끝 해변 '관성솔밭해변' 근처에 지경리 해식동굴이 있다. 숨은 일출과 일몰 명소로도 유명한데 해변의 산책로를 따라 가다보면 정비되지 않은 자연 해변 길이 등장한다. 자연 해변길을 따라 걷다보면 텅 빈 작은 해변이 등장하는데 이때 좌측을 바라보면 거대한 돌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밖에서 보면 볼품없는 모습에 실망하게 될 수도 있는데 이때 몸을 웅크려 동굴 안으로 들어가면 환상적인 광경을 감상할 수 있다. 큰 유리병을 연상케 하는 동굴의 입구 위쪽 절벽에는 소나무가 있어, 이색적인 프레임을 연출한다. 일출 명소로 알려지며 이곳에..

스토리1 2023. 12. 5. 17:23

거창 감악산 꽃&별 여행축제

https://www.youtube.com/watch?v=3ak1MzmhqZ8&t=343s 거창 감악산 꽃&별 여행축제 거창 감악산은 경남 거창군 신원면과 남상면 사이에 위치한 산으로 정상의 높이는 952m이다. 거창의 안산이며, 북쪽에 조선시대에 창건된 연수사가 있다. 감악산은 해발 952m 정상이 완만한 형태로 우리나라 3대 국립공원 지리산·덕유산·가야산을 관망할 수 있으며 정상까지 차량 진입이 가능한 것이 강점이다. 특히 감악산 정상은 3대 국립공원이 조망되는 전국 최고의 입지 조건으로 친환경 풍력단지와 연계한 둘레길·전망대·웰니스와 별빛 체험 등 체류형 관광지로의 발전 가능성이 높다. 감악재 풍력단지에서 시작해서 감악산 정상에 다녀오는 코스는 매우 부드러운 탐방로이다. 지리산과 주변의 거창산군들을..

스토리1 2022. 9. 24. 21:08

김천 직지사 꽃무릇, 이룰수 없는 참사랑 21만본 꽃무릇의 향연

https://www.youtube.com/watch?v=iJhK9rC8YG4 김천 직지사 꽃무릇 김천시 대항면에 소재한 천년고찰 직지사에 선홍빛 꽃무릇이 만개해 방문객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가을을 알리는 꽃무릇은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식물로 정식 명칭은 ‘석산’이다. 꽃과 잎이 다른 시기에 피어 한 번도 만나지 못해 ‘이룰 수 없는 사랑’이라는 슬픈 꽃말을 가지고 있다. 꽃무릇은 절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뿌리에 방부제 성분이 함유돼 있어 탱화를 그릴 때나 단청을 할 때 찧어서 바르면 좀이 슬거나 색이 바라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시는 2019년에 직지사 입구부터 만세교까지 좌우 산책로에 꽃무릇 21만 본을 식재했으며, 매년 9월경이면 붉은 융단을 깔아놓은 듯한 장관을 이룬다.

스토리1 2022. 9. 19. 15:34

청도읍성

https://www.youtube.com/watch?v=COMi1vgWJw8&t=68s 청도읍성淸道邑城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교촌리에 있는 읍성으로 경상북도 기념물 제103호로 지정 되었다. 청도읍의 중심에 축조된 읍성으로 평면이 사각형 형태이다. 규모를 살피기에는 너무 훼손되어 있어 잘 알 수 없지만 조선시대의 문헌에 의하면 성벽은 길이 1,570보(약 1.9㎞), 높이 5척 5촌(약 1.65m)이었다고 한다. 고려 때부터 있었던 것으로 당시의 성은 석축과 토축, 혼합 토성으로 성내에는 관아와 객관, 유향소, 군기고, 서역소, 작청 등의 건물이 있었다. 선조 23년(1590년)에는 원래 토축성이었던 것을 석축성으로 고쳤으나 임진왜란 때 동, 서, 북문은 소실되었고 성벽이 파괴되었던 것을 후에 성벽의..

스토리1 2022. 9. 7. 13:06

진천 농다리 보탑사 초평호

초평호 하늘다리 여명 https://www.youtube.com/watch?v=HoucE6LM7S4 진천 농다리(鎭川 籠橋)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산동리 굴티마을 앞을 흐르는 세금천에 놓여 있는 다리이다. 1976년 12월 21일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제28호 진천농교(鎭川籠橋)로 지정되었으나, 2013년 1월 18일 현재의 문화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문헌에 따르면 "고려 초 임장군이 세웠으며, 붉은 돌로써 음양을 배치하여 28수에 따라 28칸으로 지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1976년 12월 21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28호로 지정되었다. 원래 28칸의 교각으로 되어 있었으나 세월이 지나며 교각이 유실 돼 24칸이 남아있던 것을 2008년 28칸으로 복원하는 사업이 진행되어 2018년 현재 28칸으..

스토리1 2022. 9. 7. 12:40

경주 서출지 연꽃 배롱나무 무량사 이요당

https://www.youtube.com/watch?v=Q9oHMfyKbaY&t=318s 경주 서출지(慶州 書出池) *위치: 경상북도 경주시 남산1길 17 (남산동)에 위치. 사적 제138호(1964년 7월 11일 지정) 경주시 남산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연못으로 대한민국의 사적 제138호로 지정되어 있다. 신라 소지왕 때, 이 못 근처에서 왕비의 비행(非行)을 알리는 글발이 전해졌다는 고사가 있다. 1964년 대한민국의 사적 제138호 서출지로 지정되었다가, 2011년 경주 서출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남산 마을 한가운데에 삼층석탑 두 기가 있고 동쪽에 아담한 연못이 있는데 다음과 같은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신라 488년에 왕이 남산 기슭에 있던 ‘천천정’이라는 정자로 가고 있을 때, 까마귀와 쥐가 ..

스토리1 2022. 7. 25. 17:01

경주 종오정 배롱나무와 연꽃

https://www.youtube.com/watch?v=LkU_Sf-spOA&t=23s 경주 종오정(從吾亭) 경북 경주시 손곡3길 37-39에 위치. 조선 영조시대의 학자 최치덕이 1747년에 지은 정자이다. 해마다 7월 중순이면 연꽃과 백일홍이 만개해 절정의 아름다움을 선사하고 뒤편의 소나무와 어우러져 장관을 연출한다. 손곡마을은 300여년 전 손의일 이라는 선비가 개척한 마을이라고 전해지는데 왜구의 침입을 피해 온 최씨 박씨 고씨의 3성씨가 모여 살았는데 풀이 많이 우거져 풀 손(蓀)자를 써서 손실로 부르다가 손곡으로 고쳐 불렀다고 한다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로 좌우 양쪽에는 방이 있다. 팔작지붕에 양쪽에 가적지붕을 달아 위에서 보면 지붕 평면이 '工' 자 형태를 이뤘다. 둥근기둥을 사용했고 기..

스토리1 2022. 7. 25. 16:5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11
다음
TISTORY
산정의 그리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