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정의 그리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산정의 그리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명품사진
    • 산정산악회.투어21로드
    • 산정의 명산소개
    • 산정포토
    • 포토산행기
    • 산정의 수필!!
    • 매일신문 산사랑 산사람
    • 산정의낙서
    • 스토리1
    • 폰사진
    • 공감
    • 절(사찰)

검색 레이어

산정의 그리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스토리1

  • 논산 명재고택 배롱나무

    2021.08.21 by 산정(지홍석)

  • 안동 병산서원 배롱나무

    2021.08.08 by 산정(지홍석)

  • 안동 체화정 배롱나무

    2021.08.08 by 산정(지홍석)

  • 부소산성 낙화암 백화정 백마강 수륙양용버스

    2021.07.20 by 산정(지홍석)

  • 부여 궁남지 서동연꽃축제

    2021.07.17 by 산정(지홍석)

  • 자은도 분계해수욕장 여인송

    2021.07.06 by 산정(지홍석)

  • 도초도 "자산어보" 촬영지, 환상의 정원

    2021.07.06 by 산정(지홍석)

  • 신안 퍼플섬(박지도 반월도) 퍼플교(소망의 다리)

    2021.07.06 by 산정(지홍석)

논산 명재고택 배롱나무

[여행을 떠나요]논산 명재고택 노성향교 배롱나무 - YouTube 명재고택 배롱나무,노성향교 280년 전 조선 숙종 때 지은 명재 윤증(1629-1714)의 고택으로 조선시대 상류 양반가정의 표본이 되는 주택이다. 안채는 ㄷ자형, 사랑채까지 포함된 구조는 ㅁ자형의 목조 단층건물이다. 노성산 자락의 노성향교와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최근에는 '전통 한옥 체험', '고택숙박' 으로 명성을 얻고 있다. 명재 윤증이 작고하기 5년 전 자식들과 그를 흠모한 제자들이 십시일반으로 거출해 지었다고 한다. 그러나 명재 윤증은 고택에서 4km 떨어진 작은 초가에서 검소하게 살았고 그곳에서 돌아가셔서 명재고택의 '고'자를 옛 '古'가 아닌 연고 '故'자로 쓰고 있다. 공자의 영정을 모신 궐리사도 인근에 있다. 최근에 방영..

스토리1 2021. 8. 21. 13:30

안동 병산서원 배롱나무

https://www.youtube.com/watch?v=ROCFItzGqUM&t=38s 안동 병산서원과 배롱나무 ​ 병산서원은 고려 중기부터 안동 풍산에 있던 교육기관인 풍악서당(風岳書堂)을 모체로 건립되었다. 지방 유림의 자제들이 모여 공부하던 곳으로, 고려 말 공민왕 때 홍건적의 난이 일어나 왕의 행차가 풍산을 지날 무렵에 풍악서당의 유생들이 난리 중에서도 학문에 열중하는 것을 보고 왕이 크게 감동하여 많은 서책과 사패지(賜牌地)를 주어 유생들을 더욱 학문에 열중하도록 격려하였다고 전한다. 200년 가까이 세월이 흐르면서 서당 가까이에 가호가 들어서고 길이 생기면서 차츰 시끄러워지자, 유림들이 모여서 서당을 옮길 곳을 물색하던 중에 서애 류성룡 선생이 부친상을 당해 하회에 와 있을 때 선생에게 상의..

스토리1 2021. 8. 8. 16:30

안동 체화정 배롱나무

https://www.youtube.com/watch?v=saD9qFIo9Bw 안동 체화정(棣華亭) 보물 제2051호로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 447에 위치해 있다. 조선시대의 정자 건축물로 1985년 10월 15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200호로 지정되었다가, 2019년 12월 30일 전국에 지정된 보물 정자 10개 중의 하나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2051호로 지정되었다. 체화정(棣華亭)은 영조 37년(1761)에 진사 이민적(李敏迪, 1702~1763)이 학문을 닦기 위하 여 건립하였다. 체화정은 이민적이 형 옥봉(玉峰) 이민정(李敏政) 함께 살면서 우애를 다지던 장소로 유명하다. 그 후 순조가 효자 정려(旌閭)를 내린 바 있는 용눌재(慵訥齋) 이한오(李漢伍)가 노모를 체화정에 모셔 효도하였다..

스토리1 2021. 8. 8. 16:24

부소산성 낙화암 백화정 백마강 수륙양용버스

https://www.youtube.com/watch?v=QW-Y2n9aKwY&t=318s 부소산성 백제 문화의 보고, 부여 시가지 북쪽에 검푸른 숲을 이룬 해발 106m의 나지막한 산이다. 부여의 진산으로 수많은 백제 여인들이 꽃잎처럼 떨어져 죽음으로 절개를 지킨 낙화암, 백화정, 사자루, 반월루, 궁녀사, 고란사, 부소산성(사적 제5호), 해맞이하는 영일루, 성충ㆍ흥수ㆍ계백의 백제 충신을 모신 삼충사, 곡식 창고터였던 군창지, 백제 군인의 움집 수혈병영지 발길 닿는 곳마다 발걸음을 붙잡는 토성들, 백제의 역사와 백제왕실의 이야기가 곳곳에 배어 있다. 포곡식(包谷式)산성을 동반한 복합식 산성으로, 성내에는 사자루, 영일루(迎日樓), 반월루(半月樓), 고란사(皐蘭寺),낙화암(落花巖),사방의 문지(門址),..

스토리1 2021. 7. 20. 12:47

부여 궁남지 서동연꽃축제

https://www.youtube.com/watch?v=hCNtmTCD-e8 부여 궁남지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117에 위치. 사적 제135호. 부여읍 남쪽에 위치한 백제시대 별궁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 연못이다. 백제 무왕 때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궁궐의 남쪽에 연못을 팠다"는 『삼국사기(三國史記)』의 기록을 근거로 궁남지라 부른다. 제19회 부여서동연꽃축제가 ‘연꽃 愛 향을 담다’라는 주제로 오는 7월 10일부터 18일까지 9일간 궁남지 일원에서 열릴 에정이었으나 작년에 이어 올해 2021년에도 코로나19 확산으로 취소돼 아쉬움을 남겼다.

스토리1 2021. 7. 17. 16:48

자은도 분계해수욕장 여인송

https://www.youtube.com/watch?v=azn9W_wu53I&t=153s 자은도 백길해수욕장은 풍광이 수려하기로 유명하다. 백사장은 길이 1㎞로 아담한 편이나 모래는 밀가루처럼 곱고 주변에는 소나무 숲이 울창하다. 경사가 완만하고 수심이 얕아 어린이를 동행하기에 안성맞춤이고 주변에 갯바위 낚시터도 많다. 해수욕장 인근 폐염전을 활용한 양식장에서는 농어·숭어·대하 등의 고급 어종을 양식해 싱싱한 회를 맛볼 수도 있다. 신안군의 해수욕장은 대부분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그중에서도 솔숲이 가장 유명한 곳은 자은도의 분계해수욕장이다. 특히 여인송숲은 조선 시대부터 방풍림으로 조성한 것으로 아름드리 해송 100여 그루가 장관을 이룬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소나무 한그루가 있는데 이름하..

스토리1 2021. 7. 6. 14:44

도초도 "자산어보" 촬영지, 환상의 정원

https://www.youtube.com/watch?v=Ba8pMoqkeK8 영화 "자산어보"는 역사영화에 일가견이 있는 이준익 감독이 최신작.으로 2021년 3월에 개봉하였다. 배우 설경구와 변요한, 이정은의 열연이 돋보이는 흑백영화다. 조선 후기 대학자이자 조선의 천재라고 불린 정약용의 형 정약전의 저서 “자산어보"에 얽힌 창작영화이다.

스토리1 2021. 7. 6. 14:34

신안 퍼플섬(박지도 반월도) 퍼플교(소망의 다리)

https://www.youtube.com/watch?v=nvbOsrL-aA8 반월도는 면적 2.1㎢, 해안선 길이 6.7km에 이르는 작은 섬이다. 본섬인 안좌도와 강(바다) 하나를 사이에 두고 가까이 있다. '반월도'라는 이름은 섬의 생김새가 사방 어느 곳에서 보아도 반달모양 같다고 하여 붙여졌다고 한다. 섬 중앙에 위치한 최고봉인 견산(대덕산, 201.5m)을 중심으로 대부분 산지로 이루어졌으며, 해안은 사빈해안이 대부분이다. 섬은 두 개의 마을로 이루어 졌는데 도선이 닿는 퇴촌마을과 반월도의 안동네 마을인 반월마을이다.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과 어업을 겸하나, 농업에 더 많이 종사한다. 주요 농산물은 보리이고 쌀, 콩, 마늘, 참깨, 고추 등이 소량 생산된다. 마을 앞에 펼쳐진 바다의 물이 빠지면 ..

스토리1 2021. 7. 6. 14:2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7 ··· 11
다음
TISTORY
산정의 그리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