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정의 그리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산정의 그리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명품사진
    • 산정산악회.투어21로드
    • 산정의 명산소개
    • 산정포토
    • 포토산행기
    • 산정의 수필!!
    • 매일신문 산사랑 산사람
    • 산정의낙서
    • 스토리1
    • 폰사진
    • 공감
    • 절(사찰)

검색 레이어

산정의 그리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포토산행기

  • 나주 식산, 도래한옥마을,금성관,나주곰탕거리

    2021.06.17 by 산정(지홍석)

  • 포항 장기읍성 둘레길

    2021.05.11 by 산정(지홍석)

  • 수원 화성 둘레길 영동시장(먹자골목,순대거리)

    2021.04.23 by 산정(지홍석)

  • 남해 미조 조도, 하늘을 날으는 새를 닮은 섬

    2021.04.21 by 산정(지홍석)

  • 남해 미조 호도

    2021.04.20 by 산정(지홍석)

  • 천주산 용지봉 진달래산행

    2021.04.20 by 산정(지홍석)

  • 담양 고비산 산벚꽃

    2021.04.20 by 산정(지홍석)

  • 순천 향매실마을 매화(문주산, 바랑산)

    2021.03.29 by 산정(지홍석)

나주 식산, 도래한옥마을,금성관,나주곰탕거리

https://www.youtube.com/watch?v=mZiNuvZNMsg&t=29s 나주 식산, 도래한옥마을, 금성관,나주 곰탕거리 1.개요 전남 나주 도래마을은 풍산홍씨豊山洪氏 집성촌. 전해오는 말에 의하면, 남평 땅은 ‘풍산홍씨 땅을 밟지 않고는 못 지나간다’고 할 정도로 부자마을이다. 조선 중종 때 홍한의가 도래마을에 터를 잡은 이후 약 500년 동안 의병장, 학자, 명사들을 길러낸 명문가다. 인근 나주, 영암까지 위세가 대단했다고 한다. 도래마을은 전체가 민속촌이라 할 정도로 반가班家의 고택들은 위풍당당하다. 도래마을 뒤에 있는 식산은 특이하게 밥 식食자를 쓴다. 때문에 ‘조선 군사가 사흘 동안 먹을 수 있는 식량이 있는 산’이라고 말한다. 그 산의 기운이 모이는 도래마을은 ‘금계포란金鷄抱卵..

포토산행기 2021. 6. 17. 23:45

포항 장기읍성 둘레길

*포항 장기읍성 둘레길 동영상*www.youtube.com/watch?v=I2Ant7epoYA&t=39s 포항 장기읍성 포항 장기읍성은 사적 제386호 지정 되었다. 면적은 12만 4936m로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읍내리 127-2에 있다. 고려전기 초축한 토축 성곽. 읍성.으로 1011년(소려 현종 2)에 여진족이 해안으로 침입할 것을 대비하여 흙으로 쌓았다. 그 뒤 1439년(세종 21)에는 왜구를 방어하기 위해서 돌로 다시 쌓았으며, 동해안의 주요 군사기지 및 관아로 사용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등의 문헌 기록에 의하면, 둘레는 2,980척(약 1,392m)이고, 높이는 10척인데, 성 안에는 우물 4곳과 연못 2곳이 있었다고 한다. 현재의 둘레는 약 1.3㎞이고, 성벽의 높이는 약 3.7..

포토산행기 2021. 5. 11. 16:04

수원 화성 둘레길 영동시장(먹자골목,순대거리)

*수원화성 둘레길 동영상*www.youtube.com/watch?v=02G2BSl1VLo&t=23s 수원화성 둘레길, 영동시장 순대거리 [행사일: 2021. 4. 18] 1.개관: 수원시 팔달구와 장안구에 걸쳐 있는 길이 5.52㎞의 화성으로 우리나라 성곽건축 사상 가장 독보적인 면모를 자랑한다. 1963년 사적 3호로 지정됐으며 지난 199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됐다. 수원화성은 한국 성의 구성 요소인 옹성, 성문, 암문, 산대, 체성, 치성, 적대, 포대, 봉수대 등을 모두 갖춰 한국의 성곽 건축기술을 집대성했다고 평가 된다. 성곽을 따라 조성돼 있는 둘레길을 천천히 걸으며 효심과 애민정신이 지극했던 정조대왕의 숨결을 느껴 보는 것은 매우 소중한 나들이길로 남는다. 또 한편으로는 토목건축의..

포토산행기 2021. 4. 23. 00:20

남해 미조 조도, 하늘을 날으는 새를 닮은 섬

남해 미조 조도 트레킹 동영상 입니다 www.youtube.com/watch?v=g_WfHqQvj0s 남해 미조 조도(큰섬, 작은섬), 호도 트레킹 [산행일: 2021. 4. 11] 1.개관: 새가 되어 날아오르는 모양의 섬이라 하여 조도(鳥島), 새섬이라 불린다. 머리쪽은 큰 섬, 꼬리쪽은 작은 섬이다. 큰섬 6가구, 작은 섬 24가구, 총 70여명이 살 고 있으며 주 생활은 어업을 하고 있다. 남해에서 가장 때묻지 않은 섬으로 꼽히는 조도·호도는 미조에서 하루 7차례 왕복하는 도선(조도호)을 타고 들어가야 하기 때 문에 외지사람의 왕래는 거의 없는 곳이다. 지금까지 청정해역으로 남아 있을 수 있었던 이유다. 관광객이나 피서객의 왕래가 잦았더라면 자연환경이 훼손되고 민심 도 날카로워 졌을테지만 이곳 주..

포토산행기 2021. 4. 21. 18:29

남해 미조 호도

*남해 미조 호도 동영상*www.youtube.com/watch?v=TTVMMn67xaY&t=17s 남해 호도 새가 되어 날아오르는 모양의 섬이라 하여 조도(鳥島), 새섬이라 불린다. 머리 쪽은 큰 섬, 꼬리쪽은 작은 섬이다. 큰섬 6가구, 작은 섬 24가구, 총 70여명이 살고 있으며 주 생활은 어업을 하고 있다. 남해에서 가장 때묻지 않은 섬으로 꼽히는 조도와 호도는 미조에서 하루 7차례 왕복하는 도선(조도호)을 타고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외지사람의 왕래는 거의 없는 곳이다. 지금까지 청정해역으로 남아 있을 수 있었던 이유다. 관광객이나 피서객의 왕래가 잦았더라면 자연환경이 훼손되고 민심도 날카로워 졌을테지만 이곳 주민들은 순박하기 짝이 없다. 호도에도 5가구가 살지만 해마다 빈집이 늘어나고 있다. ..

포토산행기 2021. 4. 20. 21:14

천주산 용지봉 진달래산행

*천주산 용지봉 진달래산행*www.youtube.com/watch?v=jd8afwQ8T60&t=62s 천주산 [天柱山] 용지봉 진달래산행 1,높이 : 639m 2.개요: 경남 창원시와 마산시, 그리고 함안군 칠원면에 걸쳐 있는 천주산은 『하늘을 받치 고 있다는』 뜻을 가진 산으로, 청룡산, 담산, 작대산등의 이름으로 불렸으며, 주봉우리는 용지봉(龍池峰)으로 주변 일대에 진달래가 군락을 이루며 자란다. ㅇ동남쪽과 동북쪽은 창원시, 남서쪽은 마산시, 북서쪽은 함안군에 속하며 정상에서 3개 시군이 만난다. 작대산과 상봉을 가운데 두고 북릉과 이어지고, 주능선은 남북으로 마산시까지 길게 벋는다. 조선시대 성리학자인 허목(許穆)의 글씨를 음각한 달천동(達川洞)이라는 글자 가 달천계곡 암벽에 새겨져 있고, 매년 봄..

포토산행기 2021. 4. 20. 21:04

담양 고비산 산벚꽃

*고비산 산벚꽃 동영상*www.youtube.com/watch?v=9foEHEJ3OUg&t=32s 담양 고비산(462.9m) 산벚꽃 군락지, 노천저수지 전라남도 담양군 금성면 외추리에 위치. 자동차를 타고 주변을 지나가면 나도 모르게 눈길을 사로잡는 곳이다. 자석에 끌리듯 무엇인가 색다른 느낌이 와닿는 곳이라 마치 선계(仙界)의 세계로 들어서는 듯하다. 감히 말하건데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벚꽃 군락지가 아닐까. 단 한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2020년 사상 최악의 수해로 인해 노천저수지에 수많은 흙들이 쓸려내려 2021년도에 준설 및 보강공사를 하고 있어 노천저수지에 드리워지는 멋진 반영의 풍광을 보지 못했다는 것이다. 외추리에서 고비산 정상까지 왕복산행이 가능하다. 소요시간은 2시간 내외다. ..

포토산행기 2021. 4. 20. 20:51

순천 향매실마을 매화(문주산, 바랑산)

*향매실마을 동영상*www.youtube.com/watch?v=0NHtqYZSLK8 순천 문주산 바랑산 향매실마을 송치마을 [ 행사일: 2021. 3. 21] 1.개요: 순천 문주산(文遊山.688m), 바랑산(619m)은 호남정맥상에 위치한 산이다. 오늘 산행은 자유산행이다. 노고치나 송치에서 시작해도 되고, 계월리 향매실마을에 서 자유롭게 즐기는 자유로운 산행도 가능하다. 2.향매실마을: 순천에 있는 계월리 향매실마을은 대한민국 최대의 매화농장이다. 지 금으로 부터 50여년전에 처음 매화나무를 심기 시작하여, 현재는 약 25만평에 이르 는 드넓은 들판을 매화나무가 가득 채우고 있다. 봄이 되면 온통 눈이 내린것 처럼 하얀 꽃동산을 이루며, 여름이면 매실이 주렁주렁 열리고 있다. 또한 향매실마을은 상동,..

포토산행기 2021. 3. 29. 20:1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 50
다음
TISTORY
산정의 그리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