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정의 그리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산정의 그리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명품사진
    • 산정산악회.투어21로드
    • 산정의 명산소개
    • 산정포토
    • 포토산행기
    • 산정의 수필!!
    • 매일신문 산사랑 산사람
    • 산정의낙서
    • 스토리1
    • 폰사진
    • 공감
    • 절(사찰)

검색 레이어

산정의 그리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상주 맥문동 솔숲(상오리 솔숲과 맥문동)

    2021.08.21 by 산정(지홍석)

  • 논산 탑정호 출렁다리, 구름과 노닐다

    2021.08.21 by 산정(지홍석)

  • 논산 종학원 배롱나무

    2021.08.21 by 산정(지홍석)

  • 논산 명재고택 배롱나무

    2021.08.21 by 산정(지홍석)

  • 안동 병산서원 배롱나무

    2021.08.08 by 산정(지홍석)

  • 안동 체화정 배롱나무

    2021.08.08 by 산정(지홍석)

  • 함안 무기연당

    2021.07.30 by 산정(지홍석)

  • 육신사 배롱나무

    2021.07.29 by 산정(지홍석)

상주 맥문동 솔숲(상오리 솔숲과 맥문동)

https://www.youtube.com/watch?v=ACvywLGf5YI&t=6s 상주 상오리 솔숲 맥문동 경북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 산44에 위치. 속리산 자락 청정계곡을 따라 군락을 이룬 소나무 숲 아래 보랏빛의 영롱한 빛깔을 뽐내며 전국의 사진작가와 화가, 관광객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관광명소이다. 주변에는 장각폭포와 용유계곡을 따라 산책로와 쉼터, 야영장 등 관광편의시설이 잘 조성되어 있어 여름철 피서와 휴양, 힐링을 즐기려는 관광객들의 발길이 이어지는 곳입니다. 상오리 맥문동 솔숲은 8~9월에 개화하는 맥문동의 자색 꽃과 소나무 숲이 어우러져 감탄을 자아내는 곳으로, 사진 촬영의 명소로도 유명하다.

스토리1 2021. 8. 21. 13:58

논산 탑정호 출렁다리, 구름과 노닐다

https://www.youtube.com/watch?v=JpHRgolak7U 탑정호 출렁다리 수변생태공원, 구름과 노닐다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부적로 721-10에 위치. 충청남도에서 두 번째로 큰 저수지다. 대둔산 자락에서 내려오는 물줄기로 맑고 깨끗한 수질을 자랑하는 이 호수는 주변 논산평야의 젖줄이며 사철 날아드는 철새들의 서식지다. 호수 방향으로 가면 탑정호 출렁다리로 이어지는 데크 길이 나오며, 30분가량 걷다 보면 탑정호 출렁다리가 보인다. 출렁다리가 가장 가까운 곳은 제 4-1주차장 솔섬 입구 입니다.

스토리1 2021. 8. 21. 13:48

논산 종학원 배롱나무

https://www.youtube.com/watch?v=N_zTj31tQJw 논산 종학당(종학원) 배롱나무 1625년 인평대군사보 윤순거(파평윤씨 24세)의 사저에 자녀들의 교육 을 위해 세운 사설교육기관으로 유형문화재 제 152호로 지정되었다. 환상적인 최고의 배롱나무 꽃을 감상할 수 있는 곳으로 윤증고택(명재고택), 죽림서원, 유봉 등과 함께 그 명성이 높다. 특징은 안채의 ㄷ자와 행랑채 사랑채가 연결되어 ㅁ자형을 이루며, 대청, 누마루, 고방 등의 배치가 검소하고 품위가 있으며, 지붕틀의 특수한 형태는 창경궁의 연경당과 같고, 평면배치, 구조적인 연결, 창호의 처리는 기능성과 다양성이 있다.

스토리1 2021. 8. 21. 13:42

논산 명재고택 배롱나무

[여행을 떠나요]논산 명재고택 노성향교 배롱나무 - YouTube 명재고택 배롱나무,노성향교 280년 전 조선 숙종 때 지은 명재 윤증(1629-1714)의 고택으로 조선시대 상류 양반가정의 표본이 되는 주택이다. 안채는 ㄷ자형, 사랑채까지 포함된 구조는 ㅁ자형의 목조 단층건물이다. 노성산 자락의 노성향교와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최근에는 '전통 한옥 체험', '고택숙박' 으로 명성을 얻고 있다. 명재 윤증이 작고하기 5년 전 자식들과 그를 흠모한 제자들이 십시일반으로 거출해 지었다고 한다. 그러나 명재 윤증은 고택에서 4km 떨어진 작은 초가에서 검소하게 살았고 그곳에서 돌아가셔서 명재고택의 '고'자를 옛 '古'가 아닌 연고 '故'자로 쓰고 있다. 공자의 영정을 모신 궐리사도 인근에 있다. 최근에 방영..

스토리1 2021. 8. 21. 13:30

안동 병산서원 배롱나무

https://www.youtube.com/watch?v=ROCFItzGqUM&t=38s 안동 병산서원과 배롱나무 ​ 병산서원은 고려 중기부터 안동 풍산에 있던 교육기관인 풍악서당(風岳書堂)을 모체로 건립되었다. 지방 유림의 자제들이 모여 공부하던 곳으로, 고려 말 공민왕 때 홍건적의 난이 일어나 왕의 행차가 풍산을 지날 무렵에 풍악서당의 유생들이 난리 중에서도 학문에 열중하는 것을 보고 왕이 크게 감동하여 많은 서책과 사패지(賜牌地)를 주어 유생들을 더욱 학문에 열중하도록 격려하였다고 전한다. 200년 가까이 세월이 흐르면서 서당 가까이에 가호가 들어서고 길이 생기면서 차츰 시끄러워지자, 유림들이 모여서 서당을 옮길 곳을 물색하던 중에 서애 류성룡 선생이 부친상을 당해 하회에 와 있을 때 선생에게 상의..

스토리1 2021. 8. 8. 16:30

안동 체화정 배롱나무

https://www.youtube.com/watch?v=saD9qFIo9Bw 안동 체화정(棣華亭) 보물 제2051호로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 447에 위치해 있다. 조선시대의 정자 건축물로 1985년 10월 15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200호로 지정되었다가, 2019년 12월 30일 전국에 지정된 보물 정자 10개 중의 하나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2051호로 지정되었다. 체화정(棣華亭)은 영조 37년(1761)에 진사 이민적(李敏迪, 1702~1763)이 학문을 닦기 위하 여 건립하였다. 체화정은 이민적이 형 옥봉(玉峰) 이민정(李敏政) 함께 살면서 우애를 다지던 장소로 유명하다. 그 후 순조가 효자 정려(旌閭)를 내린 바 있는 용눌재(慵訥齋) 이한오(李漢伍)가 노모를 체화정에 모셔 효도하였다..

스토리1 2021. 8. 8. 16:24

함안 무기연당

https://www.youtube.com/watch?v=qJyrg73d7TM&t=253s 함안 무기연당(舞沂蓮塘) 무기연당은 주재성의 생가에 있는 조선 후기의 연못이다. 주재성은 조선 영조 4년(1728) 이인좌의 난 때 의병을 일으켜 관군과 함께 난을 진압한 인물이다. 관군들은 돌아가는 길에 그의 덕을 칭송하여 마을 입구에 '창의사적비(倡義事蹟碑)'를 세우고 서당 앞 넓은 마당에 연못을 만들었다. 연못 가운데에는 섬을 만들고 산의 모양을 본떠 놓았다. 이후 주재성은 연못의 이름을 '국담(菊潭)'이라 하고 호를 삼았으며, 연못가의 서당에서 학문에 전념하며 유유자적하였다. 연못의 서북쪽에는 오래된 정침한 채가 남아 있으나, 많은 부분을 고쳐서 그 가치를 잃고 말았다. 연못가에는 후대에 풍욕루(風浴樓)와 ..

폰사진 2021. 7. 30. 00:02

육신사 배롱나무

https://www.youtube.com/watch?v=ZipSMoW6NPI 휵신사(六臣祠) 대구 달성군 하빈면 육신사길 64 (하빈면 묘리 640)에 위치 육신사는 삼촌에게 왕권을 빼앗긴 어린 왕 ‘단종’의 복위를 꾀하려다 숨진 사육신으로 일컫는 조선 세조 때의 박팽년, 성삼문, 이개, 유성원, 하위지, 유응부 등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취금헌 박팽년(醉琴軒 朴彭年) 선생만을 그 후손들이 모셔 제사를 지냈으나 선생의 현손(玄孫)인 박계창이 선생의 기일에 여섯 어른이 사당 문밖에서 서성거리는 꿈을 꾼 후 나머지 5위의 향사도 함께 지내게 되었다. 그 뒤 하빈사(河濱祠)를 지어 제사를 지내다가, 숙종 20년(1694년) 낙빈(洛濱)이란 현액을 하사받아 사액서원이 되었다. 고종 3년(1866년) 흥선대원군..

폰사진 2021. 7. 29. 23:5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155
다음
TISTORY
산정의 그리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