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정의 그리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산정의 그리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명품사진
    • 산정산악회.투어21로드
    • 산정의 명산소개
    • 산정포토
    • 포토산행기
    • 산정의 수필!!
    • 매일신문 산사랑 산사람
    • 산정의낙서
    • 스토리1
    • 폰사진
    • 공감
    • 절(사찰)

검색 레이어

산정의 그리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전주향교 은행나무, 전주한옥마을,경기전

    2021.11.29 by 산정(지홍석)

  • 문의문화재단지 단풍

    2021.11.29 by 산정(지홍석)

  • 대청호 단풍

    2021.11.29 by 산정(지홍석)

  • 영천 하천재 단풍 명품소나무숲

    2021.11.19 by 산정(지홍석)

  • 독립기념관 단풍나무숲길

    2021.11.19 by 산정(지홍석)

  • 고령 좌학리 은행나무숲

    2021.11.19 by 산정(지홍석)

  • 임고초등학교 플라타너스 단풍

    2021.11.15 by 산정(지홍석)

  • 임고서원과 은행나무 단풍

    2021.11.12 by 산정(지홍석)

전주향교 은행나무, 전주한옥마을,경기전

https://www.youtube.com/watch?v=WQwx8CX8gTs&t=74s 전주한옥마을 전주는 두말이 필요 없는 고도(古都)다. 견훤이 후백제를 건국하며 도읍으로 삼았고, 후대에는 태조가 조선을 건국하면서 본향인 전주가 왕조의 뿌리가 됐다. 조선 시대에는 전라감영이 있던 곳으로, 호남과 제주 일대의 중심이었다.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판소리’의 고장이자, 유네스코 음식창의도시다. 또 한식과 한복, 한지 등 우리 문화의 참맛이 살아 있는 고장이다. 풍남동과 교동 일대 전주한옥마을은 그 중심으로 한국의 전통 건물인 한옥(韓屋)이 600여 채나 밀집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상인들에 대항해 조성한 한옥촌으로, 세월이 흘러 전주를 상징하는 마을로 자리매김했다. 태조의 어진을 모신 경기전,..

카테고리 없음 2021. 11. 29. 12:24

문의문화재단지 단풍

https://www.youtube.com/watch?v=WnRUAVuqOC0&t=13s 문의문화재단지(文義文化材團地) 충북 청원군 문의면 문산리 산 6-1번지, 인류문명의 발달과 급속한 산업화에 따라 사라져 가고 있는 우리의 고유 전통문화를 재현하여 조상들의 삶과 얼을 되살리고 배우기 위한 역사의 교육장으로 '97에 개장하였다. 약 3만3천평 규모의 부지위에 지방유형문화재 제49호인 문산관을 비롯하여 전통가옥, 민속자료전시관등 10동의 고건물과 장승, 연자방아, 성황당 등 옛 생활터전을 재현하여 약 50억원의 사업비가 투자되었다. 한편 4천여평의 주차장을 비롯하여 약수터, 놀이광장등 편의시설을 갖추어 대청호와 함께 호반의 명소로 부상하고 있다. 인접한 곳에 약 3천여평의 청소년수련관이 건립되어 명실상부..

폰사진 2021. 11. 29. 12:12

대청호 단풍

https://www.youtube.com/watch?v=uB5nQlSQFUw&t=221s 대청호大淸湖 대전광역시 대덕구·동구, 충청북도 보은군·청주시 사이에 건설된 복합형 댐에 의해 형성된 인공호수. 만수 면적은 72.8㎢이고, 저수지 길이 86㎞, 총저수량은 높이 76.5m에서 80m까지 홍수조절 용량을 합쳐 14억 9000만㎥에 이른다. 이 저수량으로 금강유역의 만성적인 홍수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대전광역시·청주·군산·전주 등 유역내의 인접 도시에 연간 13억㎥의 생활 및 공업용수를 공급한다. 또한 금강 하류 연안·미호천 연안 및 만경강 유역의 농경지에 연간 3억 5,000만㎥의 관계용수를 공급하고, 최대출력 600㎾의 전력과 연간 2억 600만㎾h의 발전량을 위해 이용되고 있다. 울창한 산림으로 ..

폰사진 2021. 11. 29. 12:07

영천 하천재 단풍 명품소나무숲

https://www.youtube.com/watch?v=xEe7a32v674 하천재(부비각)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 73호로 영천시 자양면 포은로 1611-11에 위치했다. 이 묘재는 오천 정씨 문중의 묘소와 강의공 정세아의 신도비를 수호하기 위하여 진주목사 정호인이 조선 인조 15년(1637)에 창건하였다고 한다. 강의공은 임진왜란 때 의병대장으로 추대되어 많은 전공을 세웠으나 논공행상에 참여하지 않고 강호정사에서 제자를 기르며 학문을 닦아 덕망이 높았던 선비였다고 한다. 현재의 건물은 후대에 중건된 것으로 보이며 영천댐 수몰지구로 편입되어 1976년 7월에 현 위치고 이건하였다. 경내에는 추원당,신도비각 등의 건물이 있는데 모두 단순하고 소박하게 짜여져 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옛스러운 ..

폰사진 2021. 11. 19. 14:14

독립기념관 단풍나무숲길

https://www.youtube.com/watch?v=xbmL1oDGFJw&t=1s 천안 흑성산黑城山 독립기념관 단풍나무길 [산행일: 2021. 11. 14] 1.높이 519m 2.소재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에 있는 산 3.개요: 차령산맥 줄기의 한 산으로 평택·천안 일대의 낮은 지대에서는 비교적 높은 산이다. 북쪽으로 태조봉(太祖峰), 남쪽으로 백운산(白雲山)·취암산(鷲巖山) 등이 있으나 모두 침식된 구릉성산지이다. 북쪽은 산지로 태조봉에 연속되며 서쪽은 아홉싸리고개·유랑리고개·장고개 등이 있다. 이들 고개들과 흑성산 사이의 낮은 골짜기에는 교천리 마을이 있고, 산 서록(西 麓)의 승척골은 매우 아늑하여 피난터가 되었으며 승천사(升天寺) 터도 남아 있다. 이 골짜 기에 모인 물은 승천천(..

폰사진 2021. 11. 19. 14:07

고령 좌학리 은행나무숲

https://www.youtube.com/watch?v=BZjYyob1_RA&t=77s 고령 좌학리(낙동강22공구) 은행나무숲 좌학리 은행나무 숲은 경북 고령군 다산면 좌학리 969번지 낙동강변에 있다. 이 은행나무숲은 2020년 10월 26일 한국관광공사와 전국관광협의회가 공동 선정한 「가을 비대면 관광지 100선」에 뽑혔는데 별점 다섯 개를 받았다. 원래 은행나무숲의 공식명칭은 「낙동강 22공구 캠핑장」으로 2011년 4대강 공사로 만들어진 공간이다. 처음 캠핑장을 만든후 캠핑장 주변경관 조성을 위하여 은행나무를 심었다. 그동안 사람들의 발길이 닿지 않는 비밀의 숲처럼 시민들의 관심을 받지 못하다가 점차 가을철이 되면서 노란 은행나무 군락이 멀리서도 사람들의 시야에 띄었고 입소문이 퍼지면서 이제는 ..

폰사진 2021. 11. 19. 13:24

임고초등학교 플라타너스 단풍

https://www.youtube.com/watch?v=Sb8Xo802qJ0&t=5s 임고초등학교[ Imgo Elementary School , 臨皐初等學校 ] ㅇ소재지: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포은로 491-2(양향리 638) 1924년 4월 17일 개교하였으며 1999년 9월 1일 금대초등학교 수성분교를 편입하였다. 2003년 11월 18일 제4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상을 수상하였으며 2005년 12월 21일 영천 교육실적 우수학교로 표창을 수상하였다. 2005년 12월 31일 경북교육청 5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로 선정되었다. 교훈은 ‘참되고 바르게 자라서 이웃과 국가를 위해 참되고 바르게 살아가는 임고인이 되자’이며 교목은 은행나무, 교화는 장미이다. 6학년 6학급으로 편성되어있으며 특색교육으로 선..

폰사진 2021. 11. 15. 23:01

임고서원과 은행나무 단풍

https://www.youtube.com/watch?v=ed1uWcthOO8 임고서원 은행나무 단풍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양항리, 임고서원에 있는 은행나무이다. 1985년 10월 15일 경상북도의 기념물 제63호로 지정되었다. 임고서원의 은행나무는 나이가 5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20m, 둘레는 5.95m에 이른다. 가지는 사방으로 퍼져 있으며, 나무가 자라나는 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본래 이 나무는 임고서원이 부래산에 있을 당시 그곳에 심어져 있었던 것이지만, 임진왜란(1592)으로 인해 없어진 임고서원을 1600년경 이곳에 다시 지으면서 은행나무도 옮겨 심은 것이라고 한다. 임고서원은 비운의 서원이다. 유독 일등만 기억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심리에 기인해서인지, 우리나라 최초의 서..

폰사진 2021. 11. 12. 19:4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55
다음
TISTORY
산정의 그리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