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완주 능바위산 불명산 화암사 [2016. 5. 29]

산정의 명산소개

by 산정(지홍석) 2016. 5. 31. 13:32

본문

반응형

 

↑ 불명산 화암사

↑등산 입구, 완주 삼성주유소

↑등산 초입, 예전 성당 건물

↑성당 물탱크 옆 등산로 안내판

↑ 주능선 오름등산로 숲길

↑ 능바위산 가는 가파른 등산로

 

 

 

↑하대장도 보이고...

↑좌측에는 두발자유화 봉우리가 

↑능바위산, 시루봉, 능바위 서봉?

 

↑암봉이 드러나지 않게 잡목들이 뒤덥고 있다.

 

 

 

↑ 능바위산 전망바위

 

↑전망바위 아래는 천길의 벼랑이...

 

 

 

 

 

 

↑능바위산 너머로 가야할 시루봉이 보인다.

↑능바위산의 아름다운 소나무

↑완주이 또 다른 명산, 천등산

↑선녀봉, 선녀남봉, 써래봉 쪽으로의 조망!

↑장선재 내림길 아릉지대

 

 

 

↑불명산 정상부

 

 

↑화암사, 신라시대의 사찰로 알려져 있다

 

↑화암사 우화루, 국보급 문화재다

 

 

↑국보로 지정된 극락전

 

↑극락전 내부

↑화암사 오름길

↑화암사 계곡 길

↑화암사 오름 114계단

↑화암사 버드나무

 

↑ 거 참!!!

 

 

 

↑ 능바위산 파노라마

 

 

↑돌아오는 여정, 영동의 지방도로!

 

완주 능바위산 불명산 화암사 [산행일: 2016. 5. 29]

1.개관: 능바위산은 전북 완주군 경천면과 운주면 사이에 있는 높이는 476m이다. 대둔산 에서 가지치기한 천등산자락을 등에 지고 있는 시루봉과 손을 잡고 있는 불명산과 사기점 골을 사이에 두고 소암봉과 어깨를 맞대고 대둔산에서 내려오는 정기를 동쪽으로 흘러 보 내는 초병역할을 한다. 숨어있는 산으로 두 개의 암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서쪽과 남쪽은 천 길 낭떠러지이며 바위들을 켜켜이 쌓은 것처럼 보여 신기하다.

전면의 바위 층 사이에 나무가 자라고 있어 바위와 나무가 구분되지 않는다. 아주 무성한 것은 아니지만 봉우리를 나무가 덮고 있어 멀리서 바라보면 암봉 같지 않아 산군들의 눈 에 들키지 않았다. 서쪽으로 나 있는 17번국도로 오가는 관광버스만 지나가도 산봉우리가 움츠러든다. 두 암봉 가운데 서쪽 봉우리가 주봉이며 사방 어느 쪽에서 올라도 매우 험하 고 가파르다. 또한 서봉과 동봉 사이는 깊은 잘록이를 이루고 있어 두 봉우리 사이를 오 르내리는 것도 상당히 힘이 든다.

2.불명산(佛明山): 전북도 완주군 경천면과 운주면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산으로 높이는 480.2m이다. 산은 분지에 있으며 정상은 시루봉으로 떡시루 모양을 닮았기에 붙여진 지 명이다. 장선리재와 용계재 사이에 위치하며 반달 형태로 4개의 산봉우리가 이어져 있다. 서쪽의 세번째 봉우리에는 봉화터가 있다. 지명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밝혀주는 산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산의 남쪽에는 화암사(花巖寺)가 있다.

불명산의 모산은 운장산으로, 예부터 전국 8대 오지 중의 한 곳으로 완주군과 진안군의 험준한 산자락을 거의 거느리고 있다. 운장산에서 북으로 이어지는 능선 상의 싸리재에서 북서쪽으로 가지를 친 능선이 칠백이고지에 이르러 남서쪽 운암산으로 지능선 하나를 분 가시키고, 계속 북서쪽으로 나아가면서 선녀봉 남봉(665m)을 지난 용계재에서 잠시 가라 앉은 다음, 아담한 봉우리 하나를 빚어놓는다. 이 산이 불명산이다.

3.총 등산거리 및 소요시간: 약 6.6km, 3:00~4:00 정도 소요

4.화암사: 신라시대 사찰로 694년(신라 효소왕 3년) 일교국사가 창건. 부분적인 중건 중수 를 거쳐 1425년(세종7) 해총이 중창하였다. 원시림이 병풍처럼 둘러 있으며, 이곳에서 원 효, 의상대사가 수도하였고, 설총이 공부하였다고 한다. 조계종 금산사의 말사로 임진왜란 으로 많은 건물이 소실되었으나 국내 유일의 하앙식 건축양식인 화암사 극락전 (국보316), 한국 고대 건축양식을 대표하는 화암사 우화루(보물662)를 비롯해 화암사 동종 (전북유형 문화재 40), 화암사 중창비(전북유형문화재94) 등 문화재가 보존되어 있다. 극락전은 1425 년에 세워진 불전 건물로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다포식(多包式) 맞배집으로 잡석 기 단위에 자연석 덤벙 주추를 놓고 그 위에 민흘림기둥을 세웠다. 안에는 관세음보살상을 모 셨고, 전통적인 탱화 기법을 그대로 따르고 있는 고승들의 영정 7폭을 보존하고 있다.

5.전체 진행방향 및 예정시간

대구7:30-원수청마을10:40→능바위산→소암봉→장선리재→시루봉→불명산→화암사→화암사주차장16:00(출발)-대구19:00

 

⊙⊙ 산정 산악회 차기 산행지 안내 ⊙⊙

◉ 5~9일 장가계 ▣6월12일 용초도

◈6월18~19일 백도 거문도 녹산등대

▣6월26일 용초도

 

산정투어[www.sanjeong.co.kr] 010-3818-0786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